안전보건in

일산화탄소 직업성 질병 예방 안내

 

 

안녕하세요, 세이프어스입니다.

일산화탄소 직업성 질병 예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.

 

 

■ 발생원 및 노출가능 상황

 

모든 유기물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음

- 제철, 탄광, 코크스 제조, 주물업, 터널작업, 내연기관 운전, 기관실, 석유화학, 유기합성, 초산제조, 암모니아제조, 맥주발효 등



■ 건강영향

▶ 흡입
…… 흡입하면 유독함

▶ 호흡기
…… 호흡곤란 유발

▶ 생식
…… 태아 또는 생식능력 손상 유발


■ 취급방법

- 용기에 잔류물이 있을 경우 MSDS 및 경고표지의 예방조치를 참고 할 것
- 조심스럽게 마개를 개봉할 것
- 취급 중에는 먹거나, 마시거나, 흡연을 하지 말 것
- 취급 후에는 취급 부위를 철저히 씻을 것
-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만 사용 할 것
- 물질에서 발생되는 어떤 것도 흡입하지 말 것


■ 저장방법

- 빈 드럼통은 완전히 비우고 잘 막아 적절한 위치로 옮길 것
- 음식물과 격리하여 보관할 것
-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, 저장장소 내 금연
-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밀폐하여 보관 할 것


■ 증상 및 진단

- 호흡기로 흡수되어 저산소증을 일으키고, 중추신경계 질환 (뇌부종) 또는 허혈성 심장 질환을 일으킴
- 카복시헤모글로빈*(CO+헤모글로빈) 농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짐
- 두통, 어지러움, 허약감, 구역, 구토, 각성상태 저하 등의 증상이 있다가 심한 경우 운동시 실신, 호흡이나 맥박수의 증가, 정신착란, 발작, 마비 등이 있음
- 관상동맥질환(협심증, 심근경색)이 있었던 경우에는 낮은 농도 노출에도 악화 가능
• 급성반응은 24시간 안에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심혈관계 영향이나 신경학적 영향은 한 달 이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


■ 노출 감소방안

- 공정격리 및 국소배기장치 설치
- 먼지, 흄, 또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경우 환기 실시
- 세안 설비와 안전 샤워 시설 설치
- 개인보호구(송기마스크, 내화학장갑, 보호복)를 착용


■ 예방조치

▶ 노출기준: 시간가중평균농도 30ppm, 단시간 노출기준 200ppm
* 혈중 COHb의 농도를 3.5%로 유지하여 가능한 신경행동학적 이상 소견이 나타나는 것을 최소화 하고, 심혈관계의 운동 수용능력을 CO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하기 위한 기준임 (혈중 COHb 농도가 5%에 이를 경우의 기중 CO 농도는 약 35ppm)

▶ 생물학적 노출지표(미국, ACGIH BEI, 2018)
- 근무종료 시 혈중 Carboxyhemoglobin 농도: 3.5% 이하
* 작업 종료 후 10-15분 이내 정맥혈채혈, 항응고제로 헤파린 사용, 채혈 후 측정 전까지 밀폐하여 냉암소에 보관하는 것을 권장
- 근무종료 시 호중 CO 농도: 20ppm
* 작업 종료 후 10-15분 이내, 마지막 호기 채취


■ 사고 시 대응방법

▶ 누출사고 대처방법
- 누출 시 즉시 닦고 예방조치를 준수 할 것
- 위험하지 않다면 누출을 막을 것
- 모든 점화원을 제거 할 것
- 물질 취급 시 모든 장비를 접지 할것
- 오염지역을 환기하고 격리 할 것
- 환경보호를 위해 수로, 하수구, 지하실,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것

▶ 누출사고 대처방법
- 소화 시 알코올 거품, 이산화탄소, 물분무를 사용 할 것
- 탱크 화재 시 소화된 후에도 다량의 물로 용기를 식힐 것
- 가열하면 용기가 폭발할 수 있음


■ 응급조치 요령

▶ 눈에 들어갔을 때
…… 20분 이상 흐르는 물에 눈을 씻어내세요.

▶ 피부에 접촉했을 때
…… 화상이 발생한 경우, 찬물로 식힌 후 피부에 들러붙은 옷은 제거하지 마세요.

▶ 흡입했을 때
…… 호흡이 힘들 경우,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옮기세요.

▶ 먹었을 때
…… 인공호흡을 하지 말고 적절한 호흡의료 장비를 이용하세요.



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.




댓글 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