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보건in

커뮤니티 안전보건in
불화수소 직업성 질병 예방 안내

 

안녕하세요, 세이프어스입니다.

불화수소 직업성 질병 예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.

 

 

 

■ 발생원 및 노출가능 상황

 

• 무색의 불화수소 또는 액상의 불산(hydrofluoric acid)은 공업적으로 불소의 공급원으로서 제약 또는 중합체(polymer) 산업에 이용되며, 광물의 제거와 유리의 식각(etching) 작업과 광택작업 시에도 사용됨

•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 제조, 탄화수소 제조, 금속 주조공장, 반도체 제조 사업장의 식각 및 연마공정(유리 등), 금속 주조물에서 모래 제거공정 등에서 노출 가능

 

 

■ 건강영향

 

• 피부 : 심한 피부화상 및 눈손상 유발

• 치아 : 치아 부식증 유발
• 눈 : 심한 눈 손상 유발
• 유전 : 유전적 결함을 일으킬 수 있음


■ 저장방법

• 음식물과 격리하여 보관할 것
•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밀폐하여 보관 할 것
• 최초의 용기에만 보관 할 것
• 부식되지 않는 용기에 보관 할 것


■ 취급방법

• 용기에 잔류물이 있을 경우 MSDS 및 경고표지의 예방조치를 참고 할 것
• 조심스럽게 마개를 개봉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만 사용 할 것
• 취급 중에는 먹거나, 마시거나, 흡연을 하지 말 것
• 취급 후에는 취급 부위를 철저히 씻고 지속적인 피부 접촉을 하지 말 것
• 개인보호구(방독마스크, 내화학장갑, 보호복)을 착용


■ 증상 및 진단

• 불화수소는 인체조직과 접촉하여 부식성과 침투성이 강한 불산으로 바뀌는데, 불산의 보통 활용 농도가 15~20% 정도여서 증상이나 소견이 수 시간 후에 나타나지만 농 도가 50~70%가 되면 접촉 즉시 화상을 초래함
• 심한 호흡기 자극제로서 피부에 닿으면 심한 동통성 화상이 생길 수 있음
   -노출 후 1~2일 동안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도 그 이후 발열, 기침, 호흡곤란, 청색증 및 폐수종 발생 가능함
• 경피 또는 흡입으로 상당량의 불산 흡수시 저칼슘혈증과 저마그네슘혈증이 초래되어 부정맥이 생길 수 있으며, 호흡기 증상 및 부정맥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음
• 불화수소의 경우 3ppm이 넘으면 자극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. 수초에서 수분간 노출이 되자마자 또는 수 시간 이내 증상이 나타남
※ 불산은 불화수소가 물에 녹은 것으로 불화수소가 신체의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 불산으로 변화되어 화학적 화상 등을 유발할 수 있음.
   - 호흡기 흡입시 호흡기 내의 수분과 접촉하여 호흡기내 화상과 심한 자극 및 부식 등 유발할 수 있음, 이로 인해 청색증과 폐수종 등 발생함
   - 부정맥은 불산의 흡수로 인해 저칼슘혈증과 저마그네슘혈증이 초래되어 발생하는 것임


■ 응급조치 요령

• 눈에 들어갔을 때 : 물로 조심해서 씻고 콘택트렌즈를 제거하세요.
• 피부에 접촉했을 때 : 화상이 발생한 경우, 찬물로 식힌 후 피부에 들러붙은 옷은 제거하지 마세요.
• 흡입했을 때 : 호흡이 힘들 경우,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옮기세요.
• 먹었을 때 : 인공호흡을 하지말고 적절한 호흡의료 장비를 이용하세요.


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.



댓글 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