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보건in

커뮤니티 안전보건in
장년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 안내

 

안녕하세요, 세이프어스입니다.

장년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.

 

 

■ 장년노동자*란?

 

50세 이상인 사람으로서 취업하고 있거나 취업의사가 있는 사람을 의미

*「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준고령자(50세 이상 55세 미만)와 고령자(55세 이상)를 포함함

 

 

▶ 장년노동자의 특징

 

시각 : 60세 이후 동공을 통한 시야 확보 기능 떨어짐

청각 : 청각기능은 20세부터 감퇴하는데 50대가 더 빨리 떨어짐

근력 : 20~30대가 최고, 60세 이후 20~30% 감소

지구력 : 60세는 30대에 비해 14% 떨어짐

순발력 : 60세 전후에 30세보다 32%, 20세보다 40% 감소

심리적 특성 : 학습력, 기억력, 집중력 저하로 사고위험 높음

 

D연령 증가에 따른 심신기능 변화 + 반복작업 등 근골격계질환 위험이 높은 작업

→ 직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연결되기 쉬움

 

 

■ 근골격계질환이란?

 

- 무리한 힘의 사용, 반복적인 동작, 부적절한 작업자세,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,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으로 인해 근육과 신경, 힘줄, 인대, 관절 등의 조직이 손상되어 신체에 나타나는 건강장해

 

 

■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

 

1. 부적절한 작업자세

-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머리/어깨 위로 들어올리는 작업

- 무릎을 굽히거나 쪼그린 자세 작업

- 목, 허리, 손목 등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비트는 작업

 

2. 과도한 힘 필요작업(수공구 취급)

반복적인 중량물 취급

- 어깨 위에서 중량물 취급목

-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중량물 취급

 

3. 과도한 힘 필요작업(중량물 취급)

- 강한 힘으로 공구를 작동하거나 물건을 잡는 작업

 

4. 접촉 스트레스 발생작업

- 손이나 무릎을 망치처럼 때리거나 치는 작업


5. 진동공구 취급작업

- 착암기, 연삭기 등 진동이 발생하는 공구 취급

 

6. 반복적인 작업

목, 어깨, 팔, 팔꿈치, 손가락 등을 반복하는 작업

 

 

■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단계

 

▶ 1단계 

작업 중 통증 및 피로감 발생

작업능력 감소 없음

며칠 동안 지속

악화와 회복 반복

 

▶ 2단계

작업시간 초기부터 통증 발생

하룻밤 지나도 통증 지속

화끈거려 잠을 설침

 

▶ 3단계

휴식시간에도 통증 지속

하루 종일 통증 지속

통증으로 불면 나타남

작업 수행 불가능

 

 

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.

 

 

 

댓글 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