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세이프어스입니다.
귀금속 제조업 직업건강가이드 핵심 요약서 안내 드립니다.
■ 귀금속 제조업의 주요 위험요인
- 귀금속 제조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되고, 노동자들은 주조, 연마, 세척, 광택 작업 중에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.
▶ 귀금속 제조업의 주요 유해인자
- 유기화합물 : 트리클로로에틸렌, 메틸알코올, 이소프로필알코올, 아세톤, 과산화수소 등
- 산 및 알칼리류 : 시안화나트륨, 시안화칼륨, 황산, 염화수소(염산) 등
- 가스 : 시안화수소 등
- 금속류 : 구리, 니켈, 크롬, 산화아연, 알루미늄 등
- 분진 : 광물성분진(산화규소) 등
물리적인자 : 분진, 고열, 소음 등
기타 : 근골격계질환(반복작업), 뇌심혈관질환(장시간 작업)
■ 귀금속 제조업의 주요 위험요인 관리방안
▶ 작업환경측정
- 작업장에 유해물질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, 평가
(작업환경측정기관 활용)
▶ 특수건강진단
-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근로자에게 검진과 사후관리 실시
(특수건강진단 기관 활용)
▶ 물질안전보건자료 게시·비치
- 화학물질 취급설명서 게시, 비치
- 근로자에게 교육
- 용기에 경고표지 부착
▶ 환기설비 설치·가동
- 유해물질 취급장소에 환기설비를 설치하고 가동상태 확인
- 환기설비를 주기적으로 점검
▶ 보호구 지급 및 착용
- 유해물질을 보호하기 위한 적정보호구 지급 및 착용
(화학물질 : 방독마스크/소음: 귀마개 / 분진(금속흠): 방진마스크)
▶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
- 근골격계 부담작업(11종) 보유 시 정기적인 조사 실시
- 설비 재배열, 높이조정, 작업방법 변경 등 작업환경개선 실시
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