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보건in

커뮤니티 안전보건in
태양광 설비 지붕 작업 안전대책

■ 태양광 공사 현장에서 떨어짐을 예방해야 하는 이유

 - 최근 5년간 태양광 공사 사고사망자수는 25명이며, 2024년 한해에만 떨어짐사고 사망자 8명 발생

 - 태양광 설비 시공중 사망사고는 취약 지붕(채광창 등) 파손에 의한 떨어짐사고가 대부분이며, 축사 또는 공장 등의 중·소규모 공사에서 주로 발생

 

 

■ 사고사망 사례  

 1. 채광창 등 지붕 바닥 파손  

   - [2023.12.07] 공장 경사 지붕 위에서 작업 준비중 채광창을 밟아 17m 아래로 떨어짐

   - [2024.01.31] 축사지붕 위에서 케이블 덕트 설치 작업 중 선라이트 지붕이 파손되어 5.6m 아래로 떨어짐

   - [2024.03.07] 축사지붕 위에서 이동 중 채광창 파손으로 7.7m 아래로 떨어짐  

   - [2024.05.20] 축사지붕 위에서 이동 중 채광창을 밟아 5.7m 아래로 떨어짐

 

 2. 지붕 단부 떨어짐, 사다리 미고정 등 기타  

   - [2020.06.07] 농장 지붕 위에서 휴식시간에 이동 중 지붕과 지붕 사이로 4.5m 떨어짐  

   - [2020.10.24] 공장 지붕 위에서 철골보 조립 작업 중 사다리에서 지붕 위 1.1M 아래로 떨어짐

   - [2023.10.19] 축사지붕 위에서 태양광 구조물 설치 작업 중 단부에서 미끄러지면서 3.9M 아래로 떨어짐  

   - [2024.07.30] A형 사다이 디딤대 위에서 태양광 모듈 하부 보강재 볼트 테결 작업 중 바닥 면에 놓인 공구 위로 떨어짐

 

 

■ 시공 단계별 위험 요인과 대책

 * 태양광 설비 지붕 작업 시곤 단계별 위험 요인

  1. 가설공사  

   - 지붕 상부로 연결되는 승강통로 미확보  

 

 

  2. 구조물 보강

    - 고소작업대(스카이) 작업시 근로자 떨어짐 위험

    - 이동식 크레인(카고) 장비 떨어짐 위험

    - 용접·용단 작업 시 화재발생 위험

 

  3. 태양광 지지대 및 모듈 설치  

 

    - 취약지붕(채광창) 등 파손으로 근로자 떨어짐 위험

    - 지붕 단부(가장자리) 떨어짐 위험

    - 이동식크레인(카고)으로 양중 시 자재 낙하 위험

    - 자재 집중 적재로 인한 지붕 파손 위험

 

 

■ 가설공사 위험 요인별 안전대책

 - 위험요인

  : 차량 탐재형 고소작업대로 승강 시 안전대미착용으로 떨어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위킹타워, 비계, 고정식 사다리 등 안전한 이동통로 확보  

 

 -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안전기준

  :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, 높이 7M 이상일 경우 2.5m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하여야함

 

 

■ 구조물 보강 위험 요인별 안전대책

 - 위험요인

  :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이용 중 안전대 미착용 시 떨어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고소작업대 전면부 안전난간 해체 시 안전대를 반드시 작업대에 걸고 작업

 

 

 - 위험요인

  : 차량탑재형 이동식 크레인으로 양중 시 넘어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정격하중 준수 , 아웃트리거는 최대한 인출, 방호장치 작동상태 확인

 

 

 - 위험요인

  : 용접·용단 작업시 불티 비산으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  

 

 - 안전대책

  : 불티비산 방지포 설치, 가연성 물품 방호조치 시행, 필요시 화재감시자 배치  

 

 - 화재감시자를 배치하여야 하는 용접·용단 작업장소 (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1조의 2)

  ① 작업반경 11미터 이내에 건물구조 자체나 내부(개구부 등으로 개방된 부분을 포함한다)에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  

  ② 작업반경 11미터 이내의 바닥 하부에 가연성 물질이 11미터 이상 떨어져 있지만 불꽃에 의해 쉽게 발화될 우려가 있는 장소   

  ③ 가연성 물질이 금속으로 된 칸막이·벽·천장 또는 지붕의 반대쪽 면에 인접해 있어 열전도나 열복사에 의해 발화될 우려가 있는 장소  

 

 

 

■ 태양광 지지대 및 모듈 설치 위험 요인별 안전대책

 - 위험요인

  : 채광창 등 취약한 지붕재 방호조치 미실시로 떨어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취약 지붕재 이동·작업 구간은 작업 발판과 안전 덮개 또는 추락방호망 설치   

 

 

 - 위험요인

  : 지붕 단부 떨어짐 방호조치 미실시로 떨어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지붕 단부 안전난간 설치로 단부 작업에서 떨어짐 방지  

 

 

 - 위험요인

  : 자재 양중 시 로프에서 자재 이탈로 떨어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양중작업 중 자재 이탈되지 않도록 줄걸이 작업 철저 , 신호수 배치 및 작업반경 내 관계 근로자 외 출입 통제  

 

 

 - 위험요인

  : 지붕 위 자재 집중 적재로 인한 지붕재 파손 위험

 

 - 안전대책

  : 지붕 위 자재 분산적재 실시 및 과적 금지  

 

 

■ 안전점검 체크  

 - 지붕 진입을 위한 승강설비는 설치되어 있는가 ?

 - 지붕 위에 자재(태양광 모듈 및 지지대)를 집중 또는 과적하지 않았는가 ?

 - 취약한 지붕재(채광창 등)에 떨어짐 방호조치(발판, 안전덮개, 추락방호망, 안전대 착용 중 하나 이상의 조치)가 되어 있는가 ?

 - 지붕단부에 떨어짐 방호조치(안전난간, 추락방호망, 안전대 착용 중 하나 이상의 조치)가 되어 있는가 ?  

 - 개인보호구(안전대, 안전모 등)를 착용하고 작업 하는가 ?

 - 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 외 접근통제 조치가 이루어져 있는가 ?

 - 고소작업대(차) 탑승설비 단부에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는가 ?  

 

 

■ 재정지원

 - 지원대상

  : 공사금액 50억원 미만인 소규모 건설 현장의 사업주  

   

 ※ 제외대상

  : 상호출자제한 기업 집단 소속 회사, 전년도 시공 능력 평가액 300위 이내 토목건축건설업체,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단체 산재보험 미가입(체남) 사업주 등  

 

 - 지원 금액 및 조건

  1. 고소작업대 임차료  

    - 지원조건 : 안전검사합격품(운전자격증 소지자 또는 조종교육 이수자)

    - 보조금 결정기준 : 표준단가와 실비 중 작은 값에 비율 적용  

    - 동일 사업주(법인) 당 지원 한도 : 같은 사업주당 최대 9,000만원 * 개인: 성명 및 생년월일 / 법인: 법인등록번호

    - 보조금액 산정기준 : 규격 및 임대기간별 정액 지급

 

  2. 추락방호망 구입·설치비  

    - 지원조건 : KS(한국산업표준) 성능기준에 적합한 것  

    - 보조금 결정기준 : 표준단가와 실비 중 작은 값에 비율 적용  

    - 동일 사업주(법인) 당 지원 한도 : 같은 사업주당 최대 9,000만원 * 개인: 성명 및 생년월일 / 법인: 법인등록번호

    - 보조금액 산정기준 : 쇼요비용(공단 판단금액) 이 20억 미만 65%,50억 미만 50%

 

 

 - 지원 절차  

  : 자금 지원 신청(사업주) >투자 계획 확인(공단) > 보조 결정(공단) > 추락방호망 설치, 안전덮개 구매 / 고소작업대 작업일정 통보 (사업장) > 현장 확인 > 보조금 정산 및 지급

     

  (1) 관할 공단 일선기관에 오프라인(우편·직접방문) 또는 온라인(clean.kosha.or.kr) 접수  

  (2) 투자계획 확인은 공사 계획서 인가(신고) 등의 서류, 평면도 및 지붕사진 등으로 갈음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 3
kinghoill121
안전대책은 언제나 중요하쥬
2025.04.14 11:56:35
woohj12124
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겠어요
2025.04.10 11:48:54
qwer246
위험한 작업일수록 안전점검은 필수 인것 같습니다ㅎㅎ
2025.04.10 11:44:5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