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뉴스

커뮤니티 안전뉴스
위험성 평가 제도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TBM을 활성화

위험성 평가 제도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(Tool Box Meeting)를 활성화한다.

-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가이드 제작·배포 -

 

고용노동부(장관 이정식)와 산업안전보건공단(이사장 안종주)은 9일 위험성 평가 제도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고 

산업현장의 근로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

(TBM: Tool Box Meeting)를 활성화하기 위해 가이드를 제작 · 배포한다고 밝혔다.

 

지난해 11월 30일 발표된 「중대재해 감축 로드맵」 은 위험성 평가 중심의 

‘자기규율 예방체계 및 엄중 책임’으로 산업안전 사고체계를 전환한 바 있다.

 

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노 · 사가 함께 사업장 내 유해 · 위험 요인을 스스로 파악하여 

개선대책을 수립 · 이행하는 위험성 평가 제도의 내실 있는 적용 · 확산이 중요하지만, 

그 결과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(TBM) 등을 통해 현장 근로자까지 전파 · 공유되어 

실천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. 

 
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(TBM)란 작업 직전, 작업 현장 근처에서 작업반장 등 

관리감독자를  중심으로  작업자들이 모여 오늘의  작업  내용과 

안전한 작업 방법에 대해 서로 확인하고 의논하는 활동을 말한다.

 

위험성 평가에 기반한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(TBM)를 통해 

작업자는 위험 요인을 재확인하며, 예방대책도 잊지 않게 된다.

 

아울러 작업자 간 안전 대화로 안전 · 보건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는 기회이며, 

이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게 해 준다.

 

특히, 매일매일 작업방식이 바뀌거나 작업자가 바뀌는 현장의 경우 주기적인 
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(TBM)는 작업자의 안전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.

 

효과적인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(TBM)를 위해서는 몇 가지 지켜야 할 사항들이 있다.

 

작업 직전에 핵심적인 안전 사항을 공유하는 자리이므로 10분 내외로 시행 하는 것이 좋다. 

참여자 수도 메시지가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최대 20명을 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.

 

중요한  것은  “핵심  메시지”로서, 그날그날  작업절차의  변경이나  새로운 위험이 예견되는 경우, 

위험요인 통제방안 · 안전작업절차 · 최근의 사고사례 등 

전달할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2~3가지 메시지로 정리하여 전달하는 것이 좋다.

 

[논의주제 예시]

① 작업절차의 변경내용

② 새로운 위험요인

③ 위험 감소방안

④ 최근의 이슈나 사고사례

⑤ 일일 · 주간 작업 일정

⑥ 안전작업 절차 강조

⑦ 신규 도입 장비의 사용법

⑧ 날씨 · 계절변화에 따른 위험 등

 

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“위험성 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방식이 중대 재해를 

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성 평가 결과를 현장 근로자까지 전달 하고 공유하여야 한다.”라며,

“이번 가이드 배포를 계기로 현장 단위에서 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가 활성화 되어 중대재해 감소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.”라고 밝혔다.

 

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(TBM) 가이드는,

고용노동부 누리집(www.moel.go.kr)과

중대재해처벌법 누리집(www.koshasafety.co.kr)

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누리집(www.kosha.or.kr)

자료마당 등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.

 


 

- 안전보건공단 -
 

목록으로